정비 신칸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비 신칸센은 경제 발전과 지역 진흥을 위해 건설된 일본의 신칸센 노선을 의미한다. 1970년 전국 신칸센 철도 정비법 공포 이후 5개 노선에 대한 정비 계획이 결정되었다. 건설비 절감과 속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며, 1990년대부터 본격적인 신규 착공이 이루어졌다. 건설 재원은 국고, 지방자치단체, JR의 분담으로 이루어지며, 병행 재래선은 제3섹터 철도로 전환되거나 폐지되는 경우가 많다. 정비 신칸센은 최고 속도 260km/h로 설계되었으며, 지역 격차 심화, 병행 재래선 문제 등 논란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철도 교통사 - 일본 철도성
일본 철도성은 메이지 시대에 설립되어 교통통신부로 통합되기 전까지 일본의 철도 administration을 담당했던 행정 기관으로, 철도망 정비, 전기화 추진, 육상 교통 부문 관할 등의 사업을 수행했다. - 일본의 철도 교통사 - 탄환열차
탄환열차 계획은 1930년대 말 일본 제국이 만주국 수송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도쿄와 시모노세키를 잇는 고속철도 건설을 목표로 추진한 프로젝트로, 태평양 전쟁 발발로 중단되었으나 일부는 도카이도 신칸센 건설에 활용되어 '신칸센'이라는 용어의 기원이 되었다. - 철도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철도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정비 신칸센 | |
---|---|
개요 | |
유형 | 신칸센 |
노선 거리 | 2,764.6 km (2023년 3월 기준, 계획 중인 노선 포함)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전철화 방식 | 교류 25,000V, 60Hz |
최고 속도 | 260km/h (호쿠리쿠 신칸센, 하카타-가고시마 중앙) |
노선 | |
노선 목록 | 홋카이도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 도호쿠 신칸센 조에쓰 신칸센 규슈 신칸센 |
건설 방식 | |
건설 방식 | 전국 신幹線 철도 정비법에 근거하여 건설 전국 신칸센 철도 정비법에 의거하여 건설된 신칸센 노선 |
건설 주체 | |
건설 주체 | 철도 건설 · 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 독립 행정 법인 철도 건설 · 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 |
관련 법률 | |
관련 법률 | 전국 신幹線 철도 정비법 전국 신칸센 철도 정비법 |
특징 | |
특징 | 재래선의 수송력을 보완하고 지역 간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 재래선의 수송력 강화 및 지역 균형 발전 도모 |
문제점 | |
문제점 | 거액의 건설 비용 채산성 문제 환경 문제 |
역사 | |
역사 | 1973년: 기본 계획 노선 결정 1973년: 기본 계획 노선 결정 2016년: 큐슈 신칸센 나가사키 루트 개업 3년 지연 (국토교통성 발표) 2016년: 큐슈 신칸센 나가사키 루트 개통 3년 지연 (국토교통성 발표) 2022년 9월 23일: 서큐슈 신칸센 개통 2022년 9월 23일: 서큐슈 신칸센 개통 |
2. 연혁
- 1970년: 전국 신칸센 철도 정비법(전간법) 공포.
- 1972년: 도호쿠 신칸센(모리오카 시 - 아오모리 시), 홋카이도 신칸센(아오모리 시 - 삿포로 시), 호쿠리쿠 신칸센(도쿄도 - 오사카 시), 규슈 신칸센(후쿠오카 시 - 가고시마 시), 니시큐슈 신칸센(후쿠오카 시 - 나가사키 시) 기본 계획 고시.
- 1988년: 운수성(당시)이 미니 신칸센이나 슈퍼 특급 방식을 조합한 '운수성 안' 발표.
- 1996년: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의 고정 자산세 경감 특례(1/2)를 활용하는 방침 제시.
- 1999년: 자자 연립, 자자공 연립 정권이 계획 재검토안 발표.
- 2000년: 운수성(당시)이 2001년도 예산 개산 요구에서 호쿠리쿠·조에츠역 - 이토이가와역 구간과 큐슈·하카타역 - 후나고야역 구간의 신규 착공 요구.[1]
- 2004년 3월 13일: 규슈 신칸센의 신야시로역 - 가고시마추오역 구간 부분 개통.[8]
- 2009년 9월: 자민당에서 민주당으로 정권 교체.
- 2012년 6월 29일: 홋카이도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 니시큐슈 신칸센 3구간 착공 인가.[10]
- 2018년 8월 24일: 호쿠리쿠 신칸센의 프리 게이지 트레인(FGT) 도입 단념.[15]
2. 1. 기본 계획 결정 (1970년대)
1970년(쇼와 45년) 전국 신칸센 철도 정비법(전간법)이 공포되었다. 이 법률에 의해, 경제 발전과 지역 진흥을 목적으로 신칸센 건설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전간법에 의거하여 도호쿠 신칸센(모리오카 시 - 아오모리 시)은 쇼와 47년 고시 제242호, 홋카이도 신칸센(아오모리 시 - 삿포로 시), 호쿠리쿠 신칸센(도쿄도 - 오사카 시), 규슈 신칸센(후쿠오카 시 - 가고시마 시)은 쇼와 47년 고시 제243호, 니시큐슈 신칸센(후쿠오카 시 - 나가사키 시)은 쇼와 47년 고시 제466호에 의해 기본 계획이 고시되었다.2. 2. 운수성 안과 3선 5구간 착공 (1980년대)
1988년, 운수성(당시)은 도호쿠·호쿠리쿠·규슈(가고시마 루트)의 3개 노선에 대해, 건설비를 줄이면서 속도를 높이기 위해 미니 신칸센이나 슈퍼 특급 방식을 조합한, 이른바 "운수성 안"을 발표했다.착공 구간의 연선 자치체나 정치인들은 이 안에 대해 "장어(풀 규격)를 주문했더니 붕장어나 미꾸라지(미니 신칸센이나 슈퍼 특급 방식)가 나왔다"고 비유하며 불만을 표출했다. 그러나 이 기회를 놓치면 다음 착공이 언제 될지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이를 받아들여 같은 해 정부·여당 협의에 의해 착공 순위가 결정되었다.
순위 | 노선 및 구간 | 방식 | 비고 |
---|---|---|---|
1 | 호쿠리쿠 신칸센: 다카사키역 - 나가노역 간 | 다카사키역 - 가루이자와역 간 풀 규격, 가루이자와역 - 나가노역 간은 미니 신칸센 (단, 나가노 올림픽 개최가 결정될 경우, 풀 규격으로 변경 고려) | 1997년 풀 규격으로 개업 |
1 | 호쿠리쿠 신칸센: 다카오카역 - 가나자와역 간 | 슈퍼 특급 방식 | 1992년 8월, 이시도역 - 가나자와역 간 착공. 2015년 풀 규격으로 개업 |
2 |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역 - 아오모리역 간 | 누마쿠나이역 (현·이와테누마쿠나이역) - 하치노헤역 간 풀 규격, 전후 구간은 미니 신칸센 | 모리오카역 - 하치노헤역 간 2002년, 하치노헤역 - 신아오모리역 간 2010년 풀 규격 개업 |
3 | 규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 야시로역 - 니시가고시마역 (현·가고시마 중앙역) 간 | 슈퍼 특급 방식 | 기점을 신야시로역으로 변경 후, 2004년 풀 규격 개업 |
4 | 호쿠리쿠 신칸센: 이토이가와역 - 우오즈역 간 | 슈퍼 특급 방식 | 1993년 10월 착공, 신구로베역 (가칭. 현·구로베우나즈키온센역) - 우오즈역 간은 재래선 부설로 공사 미실시 |
2. 3. 신 스킴에 따른 3선 3구간 착공 (1990년대)
1996년,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의 고정 자산세 경감 특례(1/2)를 활용하는 방침이 제시되어, 신규 착공 구간 선정 작업이 활발해졌다.같은 해 12월 25일, 정부와 여당의 합의에 따라 후보 3선 3구간이 선정되었다. 정부와 여당의 정비 신칸센 검토 위원회에서 채산성 검토 등을 실시하여, 1998년 1월 21일에 착공 및 착공 구간의 우선 순위가 결정되었다. 이들 구간은 같은 해 3월에 착공했다.
우선 순위 | 노선명 | 구간 | 규격 | 개업 |
---|---|---|---|---|
1 | 도호쿠 신칸센 | 하치노헤 - 신아오모리 간 | 풀 규격 | 2010년 |
1 | 규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 | 후나고야(규슈 신칸센 전면 개통에 맞춰 지쿠고후나고야역으로 개칭) - 신야시로 간 | 슈퍼 특급 방식 | 2011년 풀 규격으로 개업 |
2 | 호쿠리쿠 신칸센 | 나가노 - 조에츠(가칭, 현 조에츠묘코역) 간 | 풀 규격 | 2015년 |
2. 4. 자민-자유 연립, 자민-공명 연립 정권과 2선 3구간 신규 착공 (1999년~2000년대 초)
1999년, 자자 연립, 자자공 연립 정권은 이미 착공된 구간의 풀 규격화와 신규 착공 방침을 제시하는 계획 재검토안을 발표했다. 2000년에는 운수성(당시)이 2001년도 예산 개산 요구에서 호쿠리쿠·조에츠역 - 이토이가와역 구간과 큐슈·하카타역 - 후나고야역 구간의 신규 착공을 요구했다.[1]같은 해 정부·여당 협의를 통해 다음 2선 3구간의 신규 착공이 정식으로 결정되었다.[1]
- 호쿠리쿠 신칸센: 조에츠역(가칭) - 이토이가와역 구간 및 신쿠로베역(가칭) - 도야마역 구간 (풀 규격. 동시에 착공된 이토이가와역 - 신쿠로베역(가칭) 구간도 풀 규격으로 변경) → 2015년 개업.[1]
- 큐슈 신칸센(가고시마 루트): 하카타역 - 후나고야역 구간 (풀 규격. 동시에 착공된 후나고야역 - 니시가고시마역 구간도 풀 규격으로 변경) → 2011년 개업.[1]
2. 5. 규슈 신칸센 부분 개통과 3구간 신규 착공 (2004년)
2004년 3월 13일, 규슈 신칸센의 신야시로역 - 가고시마추오역 구간이 부분 개통되었다.[8] 같은 해 6월 10일, 여당 정비 신칸센 건설 촉진 프로젝트 팀의 합의에 따라 3개 구간(후쿠이역 주변 구간의 정비를 포함하면 4개 구간)의 신규 착공 구간이 결정되었다. 결정된 구간은 다음과 같다.- 홋카이도 신칸센: 신아오모리역 - 신하코다테역(가칭) 구간 (풀 규격) → 2016년 개통.
- 호쿠리쿠 신칸센: 도야마역 - 이시도역 구간 및 가나자와역 - 하쿠산 종합 차량 기지 (가칭) 구간 (풀 규격, 동시에 착공된 이시도역 - 가나자와역 구간도 풀 규격으로 변경) → 2015년 개통.
- 호쿠리쿠 신칸센: 후쿠이역 → 2005년 6월 4일 착공, 2009년 2월 19일 완공.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잠정적으로 에치젠 철도가 사용.[8]
- 규슈 신칸센 나가사키 루트 (서규슈 루트): 다케오온센역 - 이사하야역 구간 (슈퍼 특급 방식) → 2022년 풀 규격으로 개통.
2. 6. 민주당 정권 첫 신규 착공 (2009년~2012년)
2009년 9월 자민당에서 민주당으로 정권 교체가 이루어지면서 대규모 공공 사업 재검토가 이루어졌고, 홋카이도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 규슈 신칸센(서규슈 루트)의 미착공 구간 건설이 일시 동결되었다. 이러한 구간들은 막대한 건설비와 병행 재래선 분리에 대한 연선 자치단체의 합의 등 큰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러나 JR이 지불하는 선로 사용료를 건설비에 충당하여 재원 마련의 길이 열렸고, 연선 자치단체와의 협의가 진전되었으며, 동일본 대지진 이후 축이 되는 인프라 정비를 집중적으로 추진하는 방향으로 전환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2011년 말, 국토교통성은 연선 자치단체와의 합의를 조건으로 다음 3구간의 신규 착공 방침을 제시하였다[9]。- 홋카이도 신칸센: 신하코다테(가칭) - 삿포로역 간 212km
- 호쿠리쿠 신칸센: 가나자와 - 쓰루가역 간 124km (후쿠이역 부분 제외)
- 니시큐슈 신칸센: 이사하야 - 나가사키역 간 21km. 다케오온센 - 나가사키역 간을 풀 규격으로 일체 정비로 변경.
2012년 6월 29일, 위 3구간에 대한 정식 착공이 인가되었다[10]。
2. 7. 미착공 구간 (2017년 이후)
2017년 3월 현재 미착공 구간은 다음과 같다.- 호쿠리쿠 신칸센: 쓰루가역 - 신오사카역 간 약 143km (킬로미터정은 히가시-오바마역 부근, 교토역, 마쓰이야마테역 부근 경유)[12]
- 쓰루가 이서 구간에는 다양한 노선안이 있었지만, 2016년에 쓰루가역 - 오바마시 부근 - 교토역이라는 노선(오바마·교토 노선)이 결정되었다. 교토역에서 신오사카역까지는 도카이도 신칸센의 북쪽을 지나는 "북측 노선"과 교토역 - 교토부 남부의 간사이 문화 학술 연구 도시 부근 - 신오사카역이라는 "남측 노선" 두 가지가 제안되었지만, 2017년 3월 15일에 남측 노선이 경유지를 갓켄토시선 마쓰이야마테역 부근으로 변경한 후 정식 채택되었다.[13]
- 규슈 신칸센 나가사키 노선 (서큐슈 노선): 신토스역 - 다케오온센역 간 51km
- 다케오온센역 이동은 환경 영향 평가까지 실시되었다.
호쿠리쿠 신칸센에 대해서는 프리 게이지 트레인(FGT)에 의해 잠정적으로 고세이선·호쿠리쿠 본선으로의 운행이 검토되었지만, 2018년 8월 24일 정부 여당과 JR 서일본의 회의에서 "기술적인 과제가 있어 개발이 난항을 겪고 있다"는 이유로 FGT 도입을 단념했다.[15]
또한, 규슈 신칸센 서큐슈 노선은 다케오온센역 이서가 풀 규격(표준궤)으로 정비가 변경되어 다케오온센역 이동은 미착공 상태가 되면서, 협궤의 병행 재래선이 남겨지게 되었다. 당초, FGT로 표준궤 구간과 협궤 구간을 상호 운행할 예정이었지만, FGT의 도입 단념과 함께 2022년 9월 23일에 릴레이 방식으로 잠정 개통하게 되었다.[6]
3. 재원
도호쿠·조에쓰 신칸센은 국철의 자기 자금이나 재정 융자 등의 차입금으로 건설되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국철 채무 증가의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반성으로, 정비 신칸센은 원칙적으로 반환할 필요가 없는 무상 자금 (국가 및 자치 단체에 의한 공공 사업)으로 건설되었고, 영업을 담당하는 JR로부터는 개업 후의 수혜에 따른 선로 대여료를 받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 사업비 증액에는 재무성의 저항이 커서, 신규 착공이나 개업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새로운 재원을 마련해야 했다.
3. 1. 구 스킴 (1989년)
1989년, 호쿠리쿠 신칸센 다카사키 - 가루이자와 구간 착공 시 결정된 구 스킴은 다음과 같다.[16]구분 | 부담 비율 | 비고 |
---|---|---|
JR | 50% | |
국(공공 사업비 등) | 35% | |
지방 | 15% |
지방 부담분은 원칙적으로 도도부현의 부담이 되지만, 90%는 지방채 발행이 가능하다. 또한 10%는 연선 시정촌에 부담시킬 수 있다(신 스킴에서도 동일).
1990년, 기존 신칸센을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 3사에 매각하기 전년도에 양도 수입 중 자산 재평가에 따른 할증액 1.1조엔이 정비 신칸센의 특정 재원으로 지정되어, 매년 724억엔이 국 및 JR(기존 신칸센 임대료 잉여분 대체)의 재원이 되었다.
또한 호쿠리쿠 신칸센(다카사키 - 나가노)의 경우, 나가노 동계 올림픽 개막에 맞춰 개업하기 위해 예외적으로 유상 자금인 재정 투자 융자 (2775억엔)가 투입되었다. 개업 후에는 이후 개업한 도호쿠·규슈를 포함한 개업 완료 구간의 선로 임대료로 변제해 왔기 때문에, 선로 임대료로는 건설비에 거의 충당되지 않았다. 그러나 2011년 6월 8일에 성립된 "개정 국철 채무 처리법"에 의해, 철도·운수 기구의 특례 업무 계정에서의 이익 잉여금으로 채무가 상환되어, 그 부분이 건설비에 충당될 수 있게 되었다.[17]
3. 2. 신 스킴 (1996년)
1996년, 3선 3구간의 신규 착공에 따라, 국가·지방·JR의 부담 비율 재검토를 실시했다[16]。- JR: 수혜 범위를 한도로 한 대여료 등
- 국가: JR 부담분을 제외한 2/3
- 공공 사업비
- 기존 신칸센 양도 수입 (구 스킴에서 JR의 부담으로 되어 있던 것도 포함)
- 지방: JR 부담분을 제외한 1/3
- 이 중 90%는 지방채 발행이 인정되며, 상환 시에는 원리금 상환금의 표준 재정 규모에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원리금 합계의 50%에서 70%에 대해 지방 교부세 조치를 시행 (JR 혼슈 3사의 고정 자산세 경감 특례 (1/2) 종료에 따른 지방 교부세 감액분을 배분). 따라서 지방의 실질 부담은 약 12%에서 18%가 된다.
2004년 말 정부·여당 합의에 따라, 기존 신칸센의 양도 수입 중 2013년도 이후 분을 앞당겨 활용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또한, 호쿠리쿠 신칸센(도야마 - 가나자와) 및 홋카이도 신칸센(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에 의한 수지 개선 효과를 시산하는 과정에서, 타 구역에 운행하게 되는 JR 동일본의 수익 증가액 (소위 "근원 수혜")이 거액 (호쿠리쿠 390억엔/년, 홋카이도 220억엔/년)이 되는 것이 밝혀져, 이 부분에 대해서도 부담을 요구하는 방침도 포함되었다. JR 동일본은 난색을 표했지만, 철도·운수 기구와의 협의를 통해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구간 개업 시 대여료 증액이 이루어졌다[18]。


4. 병행 재래선 문제
정비 신칸센의 병행 재래선은 연선 지방 자치 단체와 JR의 합의에 따라 JR 경영에서 분리되어, 제3섹터 철도로 전환되거나 폐지된다. 이는 JR이 고액의 신칸센 시설과 지방 한산선구(閑散線區)로 전락한 병행 재래선을 모두 소유·운영하는 부담을 덜기 위한 조치이다.[22]
병행 재래선에서는 연선 이용자, 화물 열차, 병행 재래선의 지선 취급, 신규 사업자 경영 지원 등이 과제가 된다.[22] 1996년 12월 25일 "정비 신칸센 취급에 대한 정부 여당 합의"[21]에서는 "건설 착공하는 구간의 병행 재래선은 개업 시에 JR의 경영에서 분리한다"고 명시하여, 향후 개업하는 정비 신칸센의 병행 재래선에도 동일한 조치가 적용될 예정이다.
2024년 호쿠리쿠 신칸센 가나자와역 - 쓰루가역 개업 시점에 폐지된 노선은 신에쓰 본선 요코카와 - 가루이자와역 구간뿐이다.
4. 1. 각 노선별 병행 재래선 현황
정비 신칸센의 병행 재래선은, 연선 지방 공공 단체와 JR과의 합의에 따라, JR의 경영에서 분리되어 제3섹터 철도로 전환되거나 폐지되고 있다. 이는 고액의 신칸센 시설과 지방 한산선구로 전락한 병행 재래선을 모두 소유 운영하는 것에 따른 JR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조치이다.[22] 1996년 12월 25일 "정비 신칸센의 취급에 대해 정부 여당 합의"[21]에 따르면, 건설 착공하는 구간의 병행 재래선은 개업 시에 JR의 경영에서 분리하도록 되어 있어, 앞으로 개업하는 정비 신칸센의 병행 재래선에 대해서도 같은 조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정비 신칸센 | 신칸센 개업 전 | 구간 | 영업 킬로미터 | 이관(폐지)일 | 신칸센 개업 후 | |
---|---|---|---|---|---|---|
홋카이도 신칸센 |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 쓰가루선 | 아오모리 - 미야구 | 55.8km | JR 동일본의 채로 존속 (신칸센과 재래선에서 경영하는 회사가 다름) | |
홋카이도 여객철도 (JR 홋카이도) | 해협선 | 나카소노쿠니 - 키코나이 | 87.8km | JR 홋카이도의 채로 존속 (정기 여객 열차는 폐지되어, 화물 열차와 투어 형식의 크루즈 트레인만 운행) | ||
에도사키선 | 키코나이 - 고료카쿠 | 37.8km | 2016년 3월 26일 | 도난 이사리비 철도로 이관 (전력 설비는 존치하지만, 정기 여객 열차는 디젤 동차로 운행) | ||
하코다테 본선 | 하코다테 - 신하코다테 호쿠토 | 17.9km | 2030년도 |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 호쿠토 간 개통 시에는, JR 홋카이도의 채로 존속. 신하코다테 호쿠토 - 삿포로 간 개통 시에는, JR 홋카이도에서 경영 분리 예정 | ||
신하코다테 호쿠토 - 오샤만베 오누마 - 시카베 - 모리 | 129.7km | JR 홋카이도에서 경영 분리 예정. 분리 후의 취급에 대해서는 2022년 현재 미확정. | ||||
오샤만베 - 오타루 | 140.2km | 폐지 예정 (노선 버스로 전환) | ||||
오타루 - 삿포로 | 33.8km | JR 홋카이도의 채로 존속 예정 | ||||
도호쿠 신칸센 |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 도호쿠 본선 | 모리오카 - 메토키 | 82km | 2002년 12월 1일 | IGR 이와테 은하 철도로 이관 |
메토키 - 하치노헤 | 25.9km | 아오모리현 및 아오이모리 철도로 이관 (상하 분리 방식) | ||||
하치노헤 - 아오모리 | 96km | 2010년 12월 4일 | ||||
호쿠리쿠 신칸센 |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 신에쓰 본선 | 다카사키 - 요코카와 | 29.7km | JR 동일본의 채로 존속 | |
요코카와 - 가루이자와 | 11.2km | 1997년 10월 1일 | 폐지 (JR 버스 간토우스이선으로 전환) | |||
가루이자와 - 시노노이 | 65.1km | 시나노 철도로 이관 | ||||
시노노이 - 나가노 | 9.3km | JR 동일본의 채로 존속 | ||||
나가노 - 묘코코겐 | 37.3km | 2015년 3월 14일 | 시나노 철도로 이관 | |||
묘코코겐 - 나오에쓰 | 37.7km | 에치고 토키메키 철도로 이관 | ||||
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 | 호쿠리쿠 본선 | 나오에쓰 - 이치부리 | 59.3km | 2015년 3월 14일 | 에치고 토키메키 철도로 이관 (전력 설비는 존치하지만, 정기 여객 열차는 디젤 동차로 운행) | |
이치부리 - 구리카라 | 100.1km | 아이노카제 토야마 철도로 이관 | ||||
구리카라 - 가나자와 | 17.8km | IR 이시카와 철도로 이관 | ||||
가나자와 - 다이쇼지 | 46.4km | 2024년 3월 16일[23] | IR 이시카와 철도로 이관 | |||
다이쇼지 - 쓰루가 | 84.3km | 하피라인 후쿠이로 이관 | ||||
규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 | 규슈 여객철도 (JR 규슈) | 가고시마 본선 | 하카타 - 야시로 | 154.1km | JR 규슈의 채로 존속 | |
야시로 - 센다이 | 116.9km | 2004년 3월 13일 | 히사쓰 오렌지 철도로 이관 (전력 설비는 존치하지만, 정기 여객 열차는 디젤 동차로 운행) | |||
센다이 - 니시가고시마[24] | 46.1km | JR 규슈의 채로 존속 | ||||
규슈 신칸센 (니시큐슈 루트) (니시큐슈 신칸센) | 나가사키 본선 | 히젠야마구치[25] - 이사하야 | 60.8km | 2022년 9월 23일 | 신칸센 개업 후 23년간은 상하 분리 방식 (나가사키현・사가현이 출자하는 사가・나가사키 철도 관리 센터가 시설을 관리, JR 규슈가 열차를 운행. 히젠하마 - 이사하야 간은 전력 설비를 폐지) | |
이사하야 - 이치부 - 나가사키 키키쓰 - 나가요 - 우라카미 | 48.4km | JR 규슈의 채로 존속 (전력 설비를 폐지) |
홋카이도 신칸센의 하코다테 본선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 - 오타루 구간 중 오샤만베 - 오타루 구간은 폐지되어 버스로 전환될 예정이다.[37] 이는 1997년 호쿠리쿠 신칸센 개업에 따른 신에쓰 본선 요코카와 - 가루이자와 구간 폐지 이후 두 번째 사례이다.[34][35]
5. 설계 및 운행 속도
정비 신칸센 구간은 지금까지 정비되어 온 각 신칸센과 마찬가지로 최고 속도가 260km로 설계·정비되어 있다.[45][46] 건설 비용 문제와 속달성의 수요 정도의 관계에 따라 정비 신칸센 구간은 개업 시부터 설계 시 최고 속도와 같은 260km로 운전하지만, 이를 넘는 속도로 운전을 하고 있지 않다. 또한, 호쿠리쿠 신칸센의 30‰, 규슈 신칸센의 35‰ (쓰쿠시 터널 외) 구배나 선형 등, 신규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신칸센 노선에 비해 가혹한 제한이 걸리는 경우도 있다.
2020년 10월 6일, JR동일본은 모리오카 - 신아오모리 구간에서 장래적으로 최고 속도를 현재의 260km에서 320km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방음 대책 등의 공사가 완료되는 2027년경의 운용 개시를 목표로 한다.[47]
6. 논란 및 문제점
정비 신칸센 건설은 지방 격차 해소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나면서 지방의 쇠퇴를 가속화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44]
6. 1. 지역 격차 심화 문제
신칸센 건설을 촉진하는 이유로 지방 격차 시정과 지역 진흥이 주장되지만, 지방의 쇠퇴를 촉진하는 효과가 크다고 지적하는 전문가도 있다.[44]그 이유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제시된다.
참조
[1]
PDFlink
整備新幹線とは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
PDFlink
新幹線鉄道の建設に関する整備計画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3]
문서
東京 - 大宮間은東北・上越新幹線、大宮 - 高崎間은上越新幹線과 共用
[4]
문서
九州新幹線(鹿児島ルート)과 共用
[5]
뉴스
九州新幹線長崎ルート、開業3年遅れに…国交省
https://web.archive.[...]
読売新聞社
2016-02-15
[6]
간행물
西九州新幹線の開業日につい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2-02-23
[7]
웹사이트
全国新幹線鉄道整備法、第七条第一項の規定に基づき、新幹線鉄道建設に関する整備計画を別紙のとおり決定する 昭和四十八年十一月十三日 運輸大臣 新谷 寅三郎
https://www.pref.sag[...]
佐賀県
2018-04-21
[8]
웹사이트
福井駅付近連続立体交差事業の経緯
http://www.pref.fuku[...]
2018-09-18
[9]
뉴스
整備新幹線3区間の着工方針決定 北海道・北陸・九州
http://www.asahi.com[...]
2012-06-29
[10]
뉴스
3区間着工を正式認可=整備新幹線、民主政権で初―羽田国交相
[11]
PDFlink
整備新幹線について
https://www.soumu.go[...]
総務省
2015-03-13
[12]
웹사이트
北陸新幹線京都・新大阪間のルートに係る調査について
https://www.mlit.go.[...]
2017-04-27
[13]
뉴스
北陸新幹線の全ルート確定 敦賀以西31年着工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7-04-27
[14]
웹사이트
収支採算性及び投資効果に関する詳細資料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鉄道局
2015-03-12
[15]
뉴스
北陸新幹線にフリーゲージ断念へ 政府、与党とJR西日本
http://www.fukuishim[...]
福井新聞社
2018-08-26
[16]
웹사이트
整備新幹線に係る主な経緯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17]
웹사이트
整備新幹線未着工区間の新規着工に向けた動き ― 財源問題を中心に ―
https://www.sangiin.[...]
参議院
2015-03-12
[18]
웹사이트
北海道新幹線(新青森・新函館北斗間)の貸付料の額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8-15
[19]
간행물
整備新幹線の財源について
[20]
웹사이트
財務諸表等
https://www.jrtt.go.[...]
鉄道・運輸機構
2024-08-14
[21]
웹사이트
新幹線鉄道の整備|整備新幹線の取扱いについて 政府与党合意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1996-12-25
[22]
문서
杉山淳一の時事日想:赤字で当然、並行在来線問題を解決する必要はない
https://www.itmedia.[...]
[23]
웹사이트
快速も走る! JR北陸本線の第三セクター「ハピラインふくい」3月16日に開業へ 大聖寺~敦賀間84km
https://trafficnews.[...]
2023-08-31
[24]
문서
新幹線開業時に鹿児島中央に改称
[25]
문서
新幹線開業時に江北に改称
[26]
간행물
江差線(木古内・江差間)の鉄道事業廃止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22-10-11
[27]
간행물
江差線(木古内・江差間)の鉄道事業廃止届の提出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13-04-26
[28]
뉴스
14年5月にも三セク準備会社設立へ-江差線五稜郭-木古内間
2013-08-27
[29]
웹사이트
北海道新幹線の並行在来線 - ページ 2 / 2
https://www.mag2.com[...]
2020-05-26
[30]
웹사이트
JR津軽線の蟹田―三厩、廃止も含め協議へ…8月の豪雨で被災した赤字路線
https://www.yomiuri.[...]
読売新聞社
2023-11-14
[31]
웹사이트
【Q&A】18.並行在来線とはそもそも何なのか
http://www.shinkanse[...]
2020-05-26
[32]
뉴스
「函館-小樽253km沿線15市町村と協議開始予定」
2012-02-15
[33]
웹사이트
北海道新幹線(開業までのあゆみ)|企業・採用|JR北海道- Hokkaido Railway Company
https://www.jrhokkai[...]
2020-05-26
[34]
뉴스
長万部―余市はバス転換 並行在来線 沿線自治体が支持
https://www.hokkaido[...]
2022-02-03
[35]
뉴스
JR長万部-余市間は廃線、バス転換へ 並行在来線で全国2例目
https://mainichi.jp/[...]
2022-02-03
[36]
뉴스
JR函館線 小樽-余市間も廃線へ 自治体、バス転換で合意
https://mainichi.jp/[...]
2022-03-26
[37]
뉴스
小樽―長万部の廃線決定 JR函館線、新幹線延伸で
https://nordot.app/8[...]
2022-03-27
[38]
뉴스
北陸新幹線の予定通り延伸で連携 石川と福井知事
https://www.nikkei.c[...]
2020-11-20
[39]
웹사이트
会社概要|株式会社ハピラインふくい
https://www.hapi-lin[...]
2022-10-11
[40]
웹사이트
北陸新幹線(金沢・敦賀間)事業に関する再評価
https://www.jrtt.go.[...]
独立行政法人 鉄道建設・運輸施設整備支援機構
2022-10-11
[41]
Webarchive
連載特集・整備新幹線 九州新幹線:明日の九州を支える新幹線整備
http://www.jiti.co.j[...]
建設グラフ(自治タイムス)
2013-05-12
[42]
웹사이트
北海道・東北・九州新幹線の並行在来線区間
https://www.mlit.go.[...]
2017-11-12
[43]
Railway
長崎本線・肥前山口~諫早「非電化化」少し短縮 電化維持区間を肥前浜まで延伸
https://news.railway[...]
2021年7月7日
[44]
PDFlink
鯉江康正「開発投資型新幹線による地域振興策の検討 - 糸魚川地域を例として -」
http://www.nagaokaun[...]
長岡大学
[45]
서적
新幹線50年の技術史
講談社
[46]
간행물
東北新幹線工事誌-上野・大宮間-
日本国有鉄道
1986年11月
[47]
뉴스
盛岡-新青森で時速320キロへ 最大5分短縮、27年ごろ―東北新幹線
https://web.archive.[...]
時事通信社
2020-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